
[리버럴미디어=공소리 기자] 사회 참여와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사회와 단절하여 생활하는 청년이 급증하는 가운데 경기연구원이 ‘의정부시 사회적 고립・은둔 청년 지원 방안 연구’를 발간했다고 10일 밝혔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사회적 고립 청년 인구는 약 54만 명(보건복지부, 2023)으로, 이는 2019년 약 34만 명 대비 대폭 증가한 수치다.
2024년 기준 의정부시 전체 인구는 약 46만 명이며, 이 가운데 19~39세에 해당하는 청년 인구는 12만 명으로 26.2%를 차지한다.
의정부시는 2025년 4월 ‘의정부시 고립・은둔 청년 지원 조례’를 제정하고 민선 8기 공약사업인 청년 1인 가구 지원사업을 실천 중이다. 단기(단년도), 중기(5~10년), 장기(10년 이상)로 구분해 고립・은둔 청년을 위한 정책 방향을 설정한 것이다. 단기로는 지역 상담 기능 보완, 중기로는 커뮤니티 기반 자조모임 활성화, 장기로는 청소년 및 청년 대상 부모 교육 등을 포함한다.
연구진은 고립・은둔 원인 진단을 목적으로 의정부시와 수도권에 거주하는 청년 22명과 당사자 가족 8명을 대상으로 3~4월에 걸쳐 1:1 대면 인터뷰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이들 청년은 대부분 ▲영유아 시기부터 방치되거나 부모의 지속적 학대 ▲학교생활 부적응 및 괴롭힘 ▲의사소통 역량 부족 및 번아웃 ▲정신건강 문제 ▲경제적 취약성 ▲인터넷 및 스마트폰 과의존 ▲부모의 과도한 간섭과 보호 등의 특성을 보였다.
고무적인 사실은 참여자 대부분이 스스로 고립・은둔을 자각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할 의지를 드러냈다는 점이다.
보고서는 현상에 만족하지 못해 일시적으로 외부와 관계를 단절하는 자발적 고립과 생애 전반에 걸쳐 정서적 지지를 얻지 못해 사회화하지 못하는 비자발적 고립을 구분하는 것이 문제 해결의 출발점이라고 말한다. 자발적 고립은 학습 및 훈련 제도를 통해 개선하고, 비자발적 고립은 외부 개입이 적극 요구된다는 것이다. 진단-발굴-예방이라는 복합 대응이 핵심이다.
오재호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공동체 해체와 실업률 증가 등 사회 구조변화가 청년의 고립・은둔에 영향을 주지만 가족의 정서적 지지 결여, 학대와 방치, 과도한 개입 등 가족관계 문제가 근본적”이라며 ▲의정부시 예비 부모 교육 시행 ▲지역 기반 활동과의 협력 ▲의정부형 청년맞벌이 육아휴직 생활안정 지원 사업 ▲의정부시 청년 마음건강센터 설립 ▲고립・은둔 청년 관학 협력 지원사업을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