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대기 중 유해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조사결과…벤젠 ‘안전’

  • 등록 2018.05.03 18:50:49
크게보기

-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유해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조사
- 1급 발암물질 벤젠은 평균 0.40ppb로 기준치의 26% 수준으로 ‘안전’
- 대기환경기준 미 설정 물질 지속적으로 추적관리 필요

▲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의 대기환경 분석 사진.

[리버럴미디어=강한별 기자] 1급 발암물질로 알려진 벤젠이 경기도 대기 중에 존재하지만 대기환경기준치 보다는 낮은 수준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도로변 2개소(성남, 용인), 주거지역 2개소(수원, 안양), 산업단지 2개소(시흥, 안산) 등 도내 6개 대기측정소에서 40회에 걸쳐 시료를 채취하고 이를 분석한 43종의 유해 휘발성유기화합물질 검출 결과를 3일 발표했다.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이하 VOCs : Volatile Organic Compounds)이란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되는 액체 또는 기체상 유기화합물을 말하는 것으로 오래 노출될 경우 감각이상, 시각 및 청각장애, 기억력 감퇴 등의 운동장애나 심할 경우 의식상실, 마비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급 발암물질인 벤젠이 가장 많이 알려진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이다.

조사 결과 벤젠은 전 지역에서 평균 0.40ppb가 검출됐다. 이는 대기환경 기준인 1.536 ppb의 26%수준이다.

이밖에 주요 휘발성유기화합물질로(VOCs)는 도로변과 주거지역에서 톨루엔(3.8ppb)이, 공업지역에서는 톨루엔(10.6ppb), 디클로로메탄(8.8ppb), 에틸벤젠(1.6ppb), 자일렌(1.8ppb) 등 평균 28종이 검출돼 대기 중 상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미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장은 “현재 이들 물질(VOCs)에 대한 국내 대기환경기준치가 없는 실정이어서 지속적으로 오염도 변화를 조사하여 도민에게 공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검출된 유해 VOCs은 주간(11.5 ppb)보다는 대기가 안정한 야간(21.1 ppb)이 평균 1.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유해물질 누출사고 시 야간에 피해가 더 클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경기도내 화학물질 배출량은 전국배출량의 21.5%인 연간 11,547톤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한별 기자
Copyright @2017 리버럴미디어. All rights reserved.

리버럴미디어 | 본사: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경수대로466번길 58 455호 | 오산지사: 경기도 오산시 남부대로 446, 2층 | 등록번호 경기 아51552 | 등록일자 2017년 5월 12일 | 발행인 공소리 | 편집장 공소리 | 청소년보호책임자 공소리 | 제보·광고문의 전화 070-4571-6619, 팩스 050-4280-9732, 휴대폰 010-9364-0527 | E-mail : sori_voice@liberalmedia.co.kr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공소리 070-4571-6619 sori_voice@liberalmedia.co.kr